
노년층의 노후생활 지원제도 중에는 기초연금이 있습니다. 이 기초연금은 일정조건에 해당된다면 매월 32만 원가량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초연금 수급자격에 대하여 알려드리며 해당되신다면 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기초연금 수급자격의 첫 번째는 만 65세 이상이며,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계시고 국내에 거주하셔야 합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의 두 번째는 첫 번째 조건을 충족하면서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들이셔야 합니다. → 단독가구의 경우 소득인정액이 2,020,000원, 부부가구의 경우 소득인정액이 3,232,000원입니다. 여기서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월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단, 공무원연금, 사립학교 교직원연금, 군..

많은 분들이 월급을 받을때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있습니다. 매월 나가는 국민연금이 내가 받을 때는 얼마의 금액을 받는 지 궁금하실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러 가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시려면 위 링크인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전자민원서비스를 클릭합니다. →상단 맨 오른쪽의 메뉴버튼을 클릭하셔서 조회 탭의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합니다. →위와 같이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하시면 국민연금 노후준비서비스 홈페이지로 이동되어 간편인증과 인증서, 카카오페이 로그인 중 편하신 인증방법으로 진행해주시면..

한국토지주택공사 LH 주관으로 하는 공공임대아파트를 신청하면 임대기간 종료 후 분양전환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3가지 공공임대 방법이 있으니 자금의 현황에 따라 선택하셔서 내 집 마련을 하실 수 있으니 공공임대아파트 입주조건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공공임대 아파트 입주조건 공공임대 아파트는 공공기관이 공급하는 아파트로 임대로 거주하다가 분양 전환할 수 있는 아파트입니다. 공공임대 아파트의 경우 5년(10년) 공공임대주택과 분납 임대주택, 50년 공공임대주택으로 분류됩니다. 이 분류는 아파트별로 어떤 종류의 임대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다르며 원하시는 공공임대 아파트의 공고문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공공임대 아파트 입주조건 ▷우선 첫 번째 공공임대아파트 입주조건으로는 전용면적에 따라 다릅니다. 전용면적과 상관없이..

행복주택은 젊은 계층 ~ 노년계층의 주거부담을 해소하고자 주변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주변시세보다 저렴기에 일정 조건을 충족해서 입주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행복주택 입주조건에 대하여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행복주택 제도 ▶행복주택은 직장과 학교가 가까운 곳이나 대중교통이 편리한 곳에 짓는 임대료가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전용면적 60㎡ 이하이며 입주계층에 따라 거주기간이 다르지만 최대 20년 동안 거주하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보증금과 임대료가 시중시세의 60~80% 수준으로 입주조건에 해당되신다면 행복주택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보증금마련을 위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조해 주시면 됩니다. 행복주택 입주조건 & 거주기간 ▶입주 대상자 :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