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전세, 월세로 구하실 때 매물가격만 신경 쓰시나요? 한 가지 더 중요한 사실이 바로 부동산 중개수수료입니다. 중개수수료가 작게는 몇십에서 몇 백만 원까지 비용이 드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개수수료의 정확한 계산법과 절약방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부동산 중개수수료

     

     

    중개수수료는 공인중개사가 거래를 성사시킨 대가로 받는 보수로, 상한 요율이라는 것이 정해져 있습니다. 상한 요율은 법으로 정해진 최대 비율로, 이 비율을 초과하면 불법입니다.

     

    그래서 상한 요율이라는 법정 최대 요율 안에서 협의가 가능하고, 거래금액(매매가 or 전세보증금 or 월세 환산금액 등)에 따라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계산합니다.

     

    ※거래금액은 매매 시에는 매매가, 전세는 보증금, 월세의 경우 환산한 금액(보증금 + 월세 환산액)을 말합니다

     

    그럼 현재 부동산 중개수수료 비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1. 부동산 매매 중개수수료 요율표

     

    부동산 매매 시 서울을 기준으로 중개수수료 요율표에 대하여 알려드리며, 지역에 따라 요율이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거래 금액 상한 요율 한도액
    5천만 원 미만 0.6% 25만 원
    5천만 원 ~ 2억 원 미만 0.5% 80만 원
    2억 원 ~ 9억 원 미만 0.4% 없음
    9억 원 ~ 12억 원 미만 0.5% 없음
    12억 원 ~ 15억 원 미만 0.6% 없음
    15억 원 이상 0.7% 없음

     

     

    → 예를 들어, 9억 원의 아파트를 매매할 경우 거래금액은 매매가로, 9억 * 상한 요율 0.5% = 450만 원의 중개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여기서 공인중개사와 협의하여 중개수수료 금액을 낮출 수 있습니다.

     

     

    ★ 만약 서울 외 다른 지역의 중개수수료 요율표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를 참조해 주시면 됩니다

     

     

     

     

     

     

     

     

    1-2. 부동산 전·월세 중개수수료 요율표

     

     

    아래는 부동산 전세와 월세 거래 시 서울을 기준으로 한 중개수수료 요율표로, 지역마다 다르다는 점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거래 금액 상한 요율 한도액
    5천만 원 미만 0.5% 20만 원
    5천만 원 ~ 1억 원 미만 0.4% 30만 원
    1억 원 ~ 6억 원 미만 0.3% 없음
    6억 원 ~ 12억 원 미만 0.4% 없음
    12억 원 ~ 15억 원 미만 0.5% 없음
    15억 원 이상 0.6% 없음

     

     

    → 월세의 경우 환산하여 거래금액이 계산되는데, 월세 * 100의 결과 값을 보증금에 더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이 1,000만 원, 월세가 50만 원일 때 1000+(50*100) = 6,000만 원으로 거래금액이 계산됩니다.

     

    거래금액이 6,000만 원일 때 상한 요율은 0.4%로 최대 한도액이 30만 원으로 책정됩니다

     

     

     

    1-3. 부동산 오피스텔 중개수수료 요율표

     

    오피스텔의 경우 주거용 여부와 면적에 따라 요율이 달라집니다.

     

    → 전용면적이 85㎡ 이하이면서 부엌, 화장실, 욕실을 갖춘 주거용 오피스텔은 위의 주택 요율과 같습니다.

     

    하지만 그 외의 오피스텔의 경우 상가와 동일하게 상한 요율 0.9% 이내에서 협의하여 중개수수료를 납부하시면 됩니다.

     

     

    ★ 부동산을 매매하실 때는 중개수수료 외에도 양도소득세가 발생하니 얼마의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여야 하는지 아래를 통하여 꼭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양도소득세 계산기, 2025년 양도소득세율 확인하기

    양도소득세는 쉽게 말해 다른 사람이 소유한 토지나 건물 등 부동산이나 분양권 등을 구매할 때 발생하는 세금인데요, 양도소득세를 알고 계셔야 납부할 세금을 알 수 있고, 양도소득세를 신고

    mung2000.com

     

     

     

     

    2.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위와 같이 지역별 중개수수료 요율표를 확인하여 직접 계산하셔도 되지만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이용할 경우 더욱 간편하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1️⃣ 위의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통하여 중개보수 계산기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2️⃣ 부동산 거래를 매매, 전세, 월세 중 선택하시고, 매매하는 물건이 주택, 오피스텔, 분양권 여부를 선택합니다

     

    3️⃣ 매매가를 직접 입력 후 요율을 알고 계시다면 직접 입력을 누르시고, 모르신다면 매매가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4️⃣ 위와 같이 거래금액을 9억 원을 입력하고 중개보수 계산을 누르시면 아래 계산 결과가 나옵니다

     

    → 9억 원 ~ 12억 원의 상한 요율은 0.5%로 거래금액 9억 원 * 0.5 % = 4,500,000만 원이며, 여기에 부가세 VAT 10%까지 더하면 총 4,950,000원이라는 중개수수료가 계산됩니다

     

    이렇게 대략적인 중개수수료 비용을 알고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2-1. 중개수수료 VAT

     

    중개수수료를 상한 요율로 계산했을 때 딱 그 금액만 납부하면 된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위의 계산결과 값을 확인하시면 부가세 포함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부동산마다 다르지만 중개수수료에 부가세 10%가 별도로 붙는 경우가 있으니 미리 공인중개사와 협의하여 정확한 금액을 아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부동산 중개수수료 절약방법

    그렇다면 중개수수료가 적게는 몇십에서 많게는 몇 백까지 비용이 발생하는데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습니다.

     

     

    1️⃣ 중개수수료 협상하기

     

    → 중개수수료 요율표에서 상한 요율을 확인할 수 있는데, 법정 상한 요율 내에서 부동산의 공인중개사분과 수수료 협상이 가능합니다. 

     

    거래금액이 클 경우 매물 상황에 따라 어느 정도 깎아달라며 협상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여러 부동산 비교하기

     

    → 법정 상한 요율은 정해져 있지만 1군데 부동산만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 부동산을 방문하셔서 중개수수료를 비교해 보시고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3️⃣ 부동산 플랫폼 확인하기

     

    → 부동산 플랫폼(직방, 네이버 부동산 등)에서는 중개수수료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하니 자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와 같이 부동산 중개수수료 요율과 계산기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위의 포스팅과 함께 보시면 좋을 정보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함께 보시면 좋을 정보

     

     

    반응형